미디어소식

[메디컬투데이]국제결혼 증가, 이제는 이혼남이 대세

박옥화 0 1,362 2008.04.17 15:02

국제결혼 증가, 이제는 이혼남이 대세? 
 
 
 
 
광고문의 
 
 
 
[메디컬투데이 석유선 기자] 국제결혼의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 한국인 남편의 초혼비율은 감소하는 반면 재혼비율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6일,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결혼·출산 행태와 정책 방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조사 결과, 한국인남성-외국인여성 결혼은 1995년 1만건, 2002년까지 연 5000~1만건, 2003~2004년 연 2만건, 2005~2006년 연 3만건 이상으로 급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외국인여성과 결혼한 한국인남편의 초혼비율 감소 재혼비율 증가해 결혼실패남성의 선호가 증가세를 보였다.(2006년 초혼 63.0%, 재혼 35.4%, 미상 1.5%)

특히 외국인처의 국적은 시기에 따라 변화(중국→베트남→필리핀→기타 동남아국가) 및 다국적화 경향을 나타냈으며 국제결혼은 주로 농촌에서 발생하나, 도시에서도 증가 추세인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면지역 18.1%, 읍지역 10.0%, 도시지역 7.7%(시도별 전남 15.1%, 전북 12.9%, 경북 11.7%, 충남 11.0%, 경남 10.8%, 충북 10.3%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결혼당시 한국인남편의 연령은 1990년대 30대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점차적으로 30대 후반과 더 나아가 40대 이상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됏는데 이는 한국인남편의 연령 변화는 국제결혼이 초기 노총각이 중심이 되었던 것이 최근에는 이혼이나 사별 남성의 재혼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반면 외국인여성의 연령은 20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지난 10년간 큰 변화가 없고 한국인남성과 외국인여성 간의 연령 차이가 더욱 커지고 있어, 부부관계에서 여러 형태로 갈등구조 유발 가능 및 그로 인한 자녀출산 및 양육에 부정적인 영향이 가능하다고 지적되고 있다.

더불어 2006년 기준으로 한국인남성-외국인여성의 교육정도가 중학이하-대학이상 1.0%, 고등학교-대학이상 4.0%, 중학이하-고등학교 6.9% 수준이었지만 2006년 국제결혼 한국인 남편의 직업 중 농업 비율은 12.4%에 불과해 국제결혼은 더 이상 ‘농촌노총각’에 국한되지 않은 경향을 보였다.

이혼 경향에서는 피부색이 다른 동남아여성의 경우 이혼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1991~2006년간 국제결혼건수 중 2006년 이혼건수 비율은 외국인처 기준 1천명당 21명(‰)이었으며 국적별로 기타국가(주로 동남아시아) 28‰, 중국 23‰, 미국 16‰, 일본 14‰ 순으로 피부색 등이 다른 동남아국가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OECD국가의 경우 이민자의 출산력이 비이민자의 출산력보다 높은 것과 다르게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출산력은 한국여성의 출산율에 근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외국인처의 자녀수는 대부분 1~2명으로 남편은 추가자녀를 두고 싶지 않은 반면, 외국인처는 여건만 허락하면 추가 자녀를 낳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주여성들이 주관적으로 느끼고 있는 가구의 경제적 수준은 대부분 ‘중’ 또는 ‘하’(남편이 저위신직업에 종사,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다수)였다.

보고서는 1990년대 이래 국제결혼이 급격하게 증가한 원인으로 수요측면에서 결혼을 하지 못했거나 이혼한 남성들이 배우자로서 외국인여성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 사회경제적으로 여성의 고학력화, 경제활동참여 증가 및 가치관 변화 등에 따른 여성의 결혼 연기·포기 급증으로 남성(농촌, 저학력, 저소득, 비취업 등)들 중 비자발적인 비혼 증가 등을 꼽았다.

이어 "국제결혼 중개, 이주여성 인권보호 등 중심에 못지않게, 이들의 국내 조기 정착 등을 통한 출산 및 양육에 유리한 환경 조성 정책 강화 필요하다"며 "국적취득이 안된 상태에서 혼인생활 유지가 어려워도 자녀 성장을 돌 볼 수 있도록 체류를 보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일반가정과 다른 특수상황을 감안, 자녀양육 관련 특별 지원, 국제결혼가정(특히, 자녀양육가정)의 해체 방지를 위한 이주여성들의 사회 문화적 적응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http://www.mdtoday.co.kr

Comments

Category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